• 오늘의 춘천을 만나보세요 #오늘,춘천 #이달의 행사
    춘천시민
  • 춘천, 일자리부터 물가정보까지! #일자리지원센터 #물가정보
    경제
  • 살기 좋은 춘천, 복지포털이 함께합니다 #맞춤복지검색서비스 #희망복지원단
    복지
  • 배움과 만남, 나눔이 있는 춘천! #춘천시 대표 축제 #문화유산 현황
    문화·레저
  • 춘천시의 다양한 교통정보를 확인하세요! #춘천 LIVE 버스 #시내버스 노선 개편
    교통
  • 춘천시관광포털 내곁에 춘천 #춘천시대표관광 #맞춤여행 #춘천여행
    관광
  • 시민 성공시대 다시 뛰는 춘천
    춘천시청
  • 춘천시의회

춘천시 로고

검색창

최근 이용 서비스

최근 이용한 서비스 안내입니다.

자유게시판

보령 여행 후기

전성규 2024-09-03 110

보령 한 달 살기 여행 후기


인터넷으로 보령에서 한 달 살기를 신청했는데 참여자로 선정이 됐다는 연락을 받고 기뻤습니다. 평소에 기회가 되면 보령 여행을 하려는 생각을 해왔기 때문에 이 소식은 더욱 반가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후부터는 미리 생각해두었던 보령 관광지 투어 계획을 짰습니다. 여행계획을 세우면서 보령은 머드축제 뿐 아니라 생각보다 많은 관광지가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보령시에서 보내준 관광 안내 지도와 관련 자료들은 여행지를 선택하고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고, 여행 내내 가이드 역할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행 첫날(8.22)은 대천해수욕장과 대천항 주변을 걸으며 오후 시간을 보냈습니다. 탁트인 전망과 시원하게 밀려오는 대천항의 푸른 파도는 여행의 맛을 더해주기에 충분했습니다. 덕분에 보령에 머무는 여행기간 동안 매일 아침마다 대천항 해변을 1시간씩 산책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8.23일은 웅천 돌 문화공원과 성주산자연휴양림을 찾았습니다. 성주산자연휴양림은 빼어난 자연풍경과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기에 충분했고, 도시 생활에 지친 몸과 마음을 힐링하기에도 너무나 좋은 코스였습니다. 유유히 휴양림을 걷다 보니 산림욕도 되는 것 같고 마음도 상쾌해지고 몸도 한결 가벼워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8.25일은 보령 석탄박물관을 찾았습니다. 석탄박물관은 석탄의 기원부터 석탄 산업의 역사, 광부들의 생활까지 차근차근 살펴볼 수 있었고, 복원된 갱도에 들어가 간접체험까지 함으로써 힘들었을 광부들의 삶도 조금이나마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8.26일은 양각산과 충청 수영해안경관 전망대를 찾았습니다. 아름다운 수영해안경관을 보면서 사진도 찍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8.27일은 무창포 어촌체험마을과 대천항 수산시장을 방문하였습니다. 8.28일은 보령 청천호 둘레길을 걸었습니다. 청천호 둘레길은 한 폭의 수채화처럼 고요하고 아름다워 조용히 사색하기에도 좋은 곳이었습니다. 8.29일은 개화예술공원과 보령호(물빛공원)을 찾아 1시간 정도 주변 경관을 둘러보았습니다. 개화예술공원은 싱그러움으로 가득차 있어 여름의 풍성함을 느낄 수 있었는데, 특히 조각작품들이 곳곳에 잘 전시돼 있어 보는 재미를 더해주었습니다. 8.30일은 죽도 상화원과 성주사지 천년 역사관 등을 찾았습니다. 상화원은 죽도가 지닌 자연미를 그대로 담고 있었는데, 섬 전체가 하나의 정원으로 보전돼 있었으며, 둘레길이 잘 정비돼 있어 머무는 내내 최상의 경치를 즐길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날인 8.31일은 웅천 전통시장을 방문하여 보령 특산물인 표고버섯과 까나리액젓을 구입하였습니다.

여행기간 중 대천해수욕장의 바다 풍경을 바라보며 詩도 한 수 지으면서 낭만을 만끽하는 호사도 누릴 수 있었습니다. 관광지 여기저기를 누리며 혼자 보기 아깝다고 생각되는 곳에서는 유튜브에 올릴 동영상도 많이 찍었습니다.

이번 여행을 통해 보령시가 생각보다 다양하고 아름다운 관광지가 많다는 것을 느꼈고 사해 특유의 맛집도 풍부하다는 걸 새로이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성주산 자연휴양림과 상화원의 아름다운 풍경은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습니다. 식당과 시장에서 만났던 사람들도 하나같이 친절하고 순박해 보여 좋았습니다. 9박 10일간의 보령 관광을 통해 좋은 추억을 만들게 해주신 보령시와 보령시민 여러분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담당부서 : 디지털정책과

전화번호 : 033-250-4052

최종수정일 :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