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춘천을 만나보세요 #오늘,춘천 #이달의 행사
    춘천시민
  • 춘천, 일자리부터 물가정보까지! #일자리지원센터 #물가정보
    경제
  • 살기 좋은 춘천, 복지포털이 함께합니다 #맞춤복지검색서비스 #희망복지원단
    복지
  • 배움과 만남, 나눔이 있는 춘천! #춘천시 대표 축제 #문화유산 현황
    문화·레저
  • 춘천시의 다양한 교통정보를 확인하세요! #춘천 LIVE 버스 #시내버스 노선 개편
    교통
  • 춘천시관광포털 내곁에 춘천 #춘천시대표관광 #맞춤여행 #춘천여행
    관광
  • 시민 성공시대 다시 뛰는 춘천
    춘천시청
  • 춘천시의회

춘천시 로고

검색창

최근 이용 서비스

최근 이용한 서비스 안내입니다.

자유게시판

버스 관련 문의합니다.

정유진 2019-11-25 312

안녕하세요. 춘천 시민입니다.

춘천시청을 검색하면

'춘천, 시민이 주인입니다.' 라는 글이 가장 먼저 보입니다.

이 문구가 과연 이번 버스노선 개편에 반영된걸까요..

어느 시민의 목소리가 반영된걸까요...

지금 돌아다니고 있는 버스를 직접 가서 확인은 해보셨는지요.

사람들의 불평 소리는 듣고 계신지요.

이번 버스개편에 대한 불편한점을 적어보겠습니다.

1. 관광지의 버스는 늘고, 시민들이 다니는 곳의 버스는 줄었습니다.

중앙시장환승센터에만 서있어도

어떤 버스는 만원이고, 어떤 버스는 비어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겁니다.

인공폭포마을, 소양강댐 등 관광객이 많이 찾는 지역의 버스노선은 많이 늘었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이버스들이 많이 비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겁니다.

약사동, 효장동, 석사동, 교대, 학곡리 등으로 가는 버스들은 전보다 갑자기 많이 줄어서

많은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시민이 우선이라기 보다는 관광객 중심의 버스 개편이 아닐까요?

2. 막차시간이 너무 빠릅니다.

막차가 8시 좀 넘어 끝나게 되면 사람들보고 저녁에는 돌아 다니지 말라는 건지요.

이렇게 되면 버스를 타는 분들은 퇴근후 개인 생활을 즐길 수 가 없고,

학생들은 학교끝나고 학원 가지 못한 채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 건지요.

3. 배차 간격이 너무 깁니다.

학곡리에서 8시에 출근을 하는데 그버스 한번 타보셨는지요.

학곡리에서 나올려면 1번 버스를 타야합니다.

버스 종류도 하나인데, 배차 간격이 너무 크니

사람들이 보통 9시에 출근, 등교를 하려면 8시에 종점에서 출발하는 1번 버스를 타야합니다.

그런데 종점에서 불과 2-3 정류장만 지나면

버스에는 자리가 없고 서있는 사람들로인해 버스고 만원 버스가 되어 버립니다.

버스 노선을 다시 고려하기 힘들다면 버스 배차 간격이라도 줄여 주는게 어떠신지요

전체적인 배차 간격을 좁히기 어렵다면, 출퇴근 시간이라도 버스를 많이 배차 해주시는게 어떠신지요.

학곡리 뿐만아니라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4. 환승센터 과연 효율적인가요?

춘천에서 굳이 환승센터가 있어야 하나 싶습니다.

오히려 환승센터가 생기고 버스노선이 바뀌게 되면서 환승이 어려워졌습니다.

어딘가를 가게되면 환승을 해야하는 일이 다반사인데.

환승을 하고 싶어도 버스가 바로 있는게 아니라

기본 15분에서 많게는 40분 까지 버스를 기다리고 환승하게 됩니다.

5. 여러 지역을 고려한 노선도 인가요?

대학에서 남춘천역, 시외버스터미널을 오가는 버스가 생겨

대학생들에게는 좀더 통학이 편해진 걸로 압니다.

하지만 동, 면 안에도 여러 마을이 있습니다.

제가 사는 곳이 석사동이라 석사동 위주로 적겠습니다.

석사동에도 교대가 있는 석사동이 있고 더들어가서 동내면, 고은리, 학곡리, 사암리 등 더 작은 마을 단위가 있습니다.

작은 지역에는 마을버스를 배치하였다고 하지만,

그 마을버스 하루에 3,4개 운영하면 끝입니다.

시간 간격은 말해봤자 하루 4개이니 말할 필요가 없겠죠.

지역을 고려한 버스 노선 개편인지 의문이 듭니다.

면, 리 단위에는 사람이 없다고요?

그럼 그 사람들은 돌아다니지 말라는 건가요?

학곡리도 작은 마을 단위는 아닙니다.

그런데 마을 버스를 제외하면 1번 버스가 다입니다.

너무 한거 아닙니까? 심지어 수욜 저녁에는 버스에 탈 자리조차 없습니다.


다시 한번 이번 버스 개편에 대해 생각해주시고, 변화를 주었으면 합니다.


담당부서 : 디지털정책과

전화번호 : 033-250-4052

최종수정일 :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