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강소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R&D) 제3차 지원공고
전략산업과 2022-07-08 19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2 - 0683호
2022년 강소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R&D) 제3차 지원공고
공공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전문(연) 등)의 연구성과를 활용한 기술사업화 및 창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2022년 강소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지원 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관련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7월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1. 세부 분야별 지원대상 및 규모, 접수방법
※ 아래내용은 세부분야별 지원내용의 요약정보이며, 신청관련 자세한 사항(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등)은 붙임의 세부사업 공고를 확인하시고 내용에 맞게 신청 바랍니다. |
■ 2022년도 강소특구육성사업 공고(3차)
사업명 | 지원 대상 | 수혜 대상 | 예산 (백만원) | 지원 내용 | |
기술발굴·연계 | 양방향 기술발굴 | 기술핵심기관 (컨소시엄 가능) |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기술지주회사 및 기업협의체 등 | 1,700 | 공공기술의 사업화 수요 발굴·분석 및 매칭, BM 수립, 연구소기업 설립 컨설팅 지원 등 |
기술가치평가 지원 | 연구소기업 설립 또는 출자를 추진 중인 기관, 연구소기업 등 | 연구소기업 설립 예정 기업 | 200 | 연구소기업의 기술이전 또는 현물출자를 위한 기술평가 지원 등 | |
기술이전사업화 (R&BD) | 공공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을 이전·출자 받은 기업 (연구소기업 우선지원) | 연구소기업, 공공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업 | 7,400 | 신제품․신사업 진출을 위한 R&BD (제품화․양산화) 과제지원 | |
기술창업 육성 | 이노폴리스 캠퍼스 | 기술핵심기관 (컨소시엄 가능) | 예비 창업자 및 창업 초기기업 등 | 1,400 |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검증, 지역경선 등 투자유치 역량 강화 및 초기투자 연계 지원 등 |
통합 엑셀러레이팅 지원 |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고 투자기능을 갖춘 기관 | 유망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 | 60 | 강소특구 내 유망 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연구소기업의 멘토링·컨설팅 등 보육 → 12개 강소특구 통합 IR 경진대회 운영 및 대·중견기업 연계·협력 지원 | |
특화성장 지원 | 혁신 네트 워크 | 기술핵심기관 (컨소시엄 가능) | 강소특구 특화분야 관련 산·학·연·관 네트워크 | 1,240 | 특구 혁신주체를 대상으로 기능별, 혁신기술 분야별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
지역 특성화 육성 | 기술핵심기관 | 강소특구내 기업, 지역 특화기업* 등 | 4,840 | 지역특화분야 산업 육성, 기업 수요 기반 기술특성화 지원 및 경영 역량 강화 등 | |
예산 합계(백만원) | 16,840 | - |
※ ‘22년 신규지정 강원 춘천, 인천 서구 강소특구에만 해당하는 예산규모임
2. 접수방법 및 문의처
■ 접수방법 : 연구개발특구 사업관리시스템(pms.innopolis.or.kr) 통해 신청
○ 기술이전사업화 사업, 연구소기업 기술가치평가 지원
사 업 명 | 공고기간 | 접수기간 |
기술이전사업화(R&BD) | 별도 공고 예정 | 별도 공고 예정 |
통합 액셀러레이팅 지원 | `22. 07. 01(금) ~ ‘22. 08. 01(월) | `22. 07. 18(월) ~ ‘22. 08. 01(월) 15:00까지 |
연구소기업 기술가치평가 지원 | `22. 07. 01(금) ~ 예산 소진 시까지 | 수시 접수 |
○ 기술핵심기관 지원대상 사업
- 세부 사업 내용 및 방법은 기술핵심기관에서 별도 공고 후 추진
■ 접수방법 : 과제 신청방법, 평가절차 등 사업관련(접수 방법 포함) 문의는 신청하고자하는 과제의 담당자에게 문의
※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공고문 및 붙임파일을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