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해파리 조심하세요!!
식품의약과 2013-07-22 2154
최근 전남지역에 대량 출현한 ‘ 보름달물해파리’ 는 쏘일 경우, 쏘인 부위에 통증, 피부 발진 등 국소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민간요법으로 알려진 식초를 상처에 바르는 것은 금기이다.
* 식초는 입방해파리(맹독성, 전신반응 유발)에만 사용가능하나
쏘인 상처를 보고 해파리 종류를 구분하기 어려움
해파리에 쏘였을 때는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본인 또는 일행이 안전요원에게 알려 다른 사람이 쏘이지 않도록 주변을 통제하고 안전요원의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 쏘인 부위는 바닷물로 세척하되, 수돗물이나 생수, 알콜 등으로 세척하면 안되고,
쏘인 부위를 문지르거나 붕대로 감는 등 압박하면 안된다.
☆ 세척 후 해파리 촉수가 피부에 남아있는 경우, 신용카드와 같은 플라스틱 카드로
조심스레 긁어서 제거하면 되는데, 이때 조개껍데기 등 오염된 물체를 사용금지
☆ 해파리에 쏘인 부위에 통증이 지속되거나 온 몸이 아프고 오심, 구토, 식은 땀,
어지럼증 등 전신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맹독성 해파리에 쏘였을 가능성 있어
즉시 119에 신고하여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해파리에 눈을 다쳤을 경우에도 안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보건복지부는 해파리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바닷가에서 해파리를 발견하면 즉시 안전요원에게 신고하고, 죽은 해파리라도 만지지 않도록 하며 해변을 걸을 때는 신발을 신을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해파리가 자주 발견되는 곳은 피하도록 하고, 해변을 방문할 경우에는 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www.nfrdi.re.kr)에서 해파리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리 숙지하여 해파리 쏘임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피서를 즐길 것을 당부하였다.

춘천시청이(가) 창작한 여름 휴가철 해파리 조심하세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