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춘천을 만나보세요 #오늘,춘천 #이달의 행사
    춘천시민
  • 춘천, 일자리부터 물가정보까지! #일자리지원센터 #물가정보
    경제
  • 살기 좋은 춘천, 복지포털이 함께합니다 #맞춤복지검색서비스 #희망복지원단
    복지
  • 배움과 만남, 나눔이 있는 춘천! #춘천시 대표 축제 #문화유산 현황
    문화·레저
  • 춘천시의 다양한 교통정보를 확인하세요! #춘천 LIVE 버스 #시내버스 노선 개편
    교통
  • 춘천시관광포털 내곁에 춘천 #춘천시대표관광 #맞춤여행 #춘천여행
    관광
  • 시민 성공시대 다시 뛰는 춘천
    춘천시청
  • 춘천시의회

춘천시 로고

검색창

최근 이용 서비스

최근 이용한 서비스 안내입니다.

자유게시판

한국인들은 이승만·박정희를 생각하며 초심으로 돌아가야

천영수 2017-04-06 251

대한민국은 이승만이 세우고 박정희·전두환이 살 만한 나라로 만들어 놨다. 그러나 좌익들은 이에 대해 고마운 마음으로 기리기는커녕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만 해석하려 든다. 이윽고 가치관이 뒤죽박죽되어 옳고 그름을 분별할 최소한의 상식마져 왜곡되어 가는 게 현실이다. 오로지 '민주놀음'에 빠져 감사할 줄을 모른다. 늘 불만투성이고 따라서 불행의 늪으로 점점 빠져드는 것이다. 福이 가까이 할 리가 만무하다. 있던 福도 겁이 나서 도망가야 할 판이다.

 박정희는 '하면 된다'는 신념으로 이를 실천하였다. 반면 兩金(김영삼.김대중) 등 민주팔이들은 박정희가 하고자 하는 일은 늘 반대로 일관했다. 잘 하고 있는데도 '안된다'는 것이다. 어찌어찌 자기들이 집권하자 자기들 방식대로 하려니 정말 안된다. 옳은 방법을 애써 외면하고 그 반대로만 하려니 될 수가 없는 것이다. 兩金패거리가 건드린 것은 모두가 훗날 재앙이나 근심거리로 남았다. 다 망쳐놓은 것이다. 

 비근한 예로 공무원연금, 국민연금, 의료보험 등은 처음에는 세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모델로 만들어 놓은 제도였다. 사회변화에 맞게 조금씩 개선해나가면 될 일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개혁이란 명분으로 마구 뜯어고쳐 이상하게 만들어 놨다. 그 내용을 일일이 여기에 다 설명할 수도 없을 정도로 문제가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대북 문제다. 공연히 망해가는 김씨왕조를 거액의 돈을 들여 붙잡아 놓고 핵미사일 개발까지 지원했다. 스스로 죽으려고 환장을 하지 않고서야 할 짓이 아니다.

 이들이 막상 정권을 잡자 나라를 이끌어간다는 게 어렵다는 것을 뒤늦게야 깨닫게 된다. 박정희의 功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되자 하는 말이 있다. '쿠대타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 경제성장에 매달렸다' 못 나도 어떻게 이렇게도 못 난 인간들이 다 있나!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 잡고 잘 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쿠데타를 결심했다'고 하면 누가 잡아가나? 경제성장이 매달린다고 이뤄지는 것도 아니다. 兩金이 안 매달려서 망한 게 아니다. 진정성도 능력도 없이 박정희의 반대로만 하려드니 망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건드리는 것마다 다 망쳐 놨다.

 문재인이 편가르기에 몰두하다가 여러 모로 경계하는 국민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눈치챘는지 갑자기 이승만 박정희 묘소를 찾았다. 이 역시 진정성이 보이지 않으니 가증스러울 뿐이다. 해방 후 한반도 앞에 놓인 선택의 길은 둘이었다. 이승만 박정희로 이어 온 한국의 역사는 正道를 걸었다. 북한을 보라. 저것이 바른 길이라 할 수 있는가? 문재인도 대통령이 되든 안 되든 이승만과 박정희를 진정으로 대해야 한다. 진정으로 감사해야 한다. 마지못해 묘소를 찾아가 저주의 향을 피우며 功이 어쩌고 過가 어쩌고 요설을 풀 일이 아니다.

 어느 쪽이 옳았는지는 이제 다 드러났다. 이승만이 옳았고 김일성이 틀렸다. 박정희가 옳았고 兩金이 틀렸다. 옳은 것은 이어나가야 하고 틀린 것은 고쳐나가야 한다. 특히 박정희의 업적은 모두가 인정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이어나갈 생각을 해야지 틈만 나면 폄하하고 잘못으로 왜곡하려는 것은 모순이다. 이승만·박정희를 부정하는 것은 곧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것이다. 어느 누구라도 이승만 박정희가 터 닦은 이 길을 함부로 바꾸려 해서는 안 된다. 김씨왕조의 백성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말이다. .

담당부서 : 디지털정책과

전화번호 : 033-250-4052

최종수정일 :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