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권과 갈등을 빚다가 2000년 LA로 출국한 후 한국영화계와 사실상 연을 끊었던 김지미 전 영화인협회장은 지난 2010년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증언했다.
<왜 갑자기 그들이 혁명군들처럼 그랬는지 나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나는 사실 그 때 '명계남', '문성근' 이런 사람들 이름도 몰랐다. 얼굴 본 적도 없고. 그런데 영화인협회 안에서 문제를 해결하면 될 것을 나서서 데모만 하니까 영화계 물을 흐리는 거 아니냐 싶었다. 게다가 구세대는 다 물러가라니. 영화 역사를 지켜온 사람이 누군데, 왜 물러가야 하나. 선배가 잘못했다고 '넌희 다 물러가라' 이런 식이면 공산당과 뭐가 다른가.부모 잘못하면 업어다 고려장 시키나?>
노무현 정권은 더 심했다. 최근 한 신문은 사설을 통해 "노무현 정부는 좌파 문화예술인을 집중 지원하고 보수 성향 예술인들을 차별해 문화계 토양을 황폐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이것이 팩트다. 실제 돌이켜 보면 노무현 정부에서는 이념적 성향에 따라 문화단체에 대한 편중인사로 논란이 많았다. 이창동 문화부장관,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 등 좌익 인사들이 대거 발탁되면서 이른바 '코드인사'의 논란과 함께 지원 편중이 심각했었음을 기억할 것이다.
좌익 정권이 들어서기 전에는 한예총(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과 민예총(한국 민족예술인 총연합)의 회원수가 약 120만명 대 10만명으로 이 비율에 따라 정부 지원액이 약 10대1이었으나 2006년에는 한예총 19억원, 민예총 22억원으로 지원규모가 역전됐다.(한국일보 참조) 이처럼 사실상의 '블랙리스트' 작업은 좌익 정권에서 시작되어 아주 심각했다는 것을 일반 국민들은 모르거나 잊고 있는 것이다. 이명박 정권 들어서 이를 교정하느라 일부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처럼 '블랙리스트' 운운하며 정치보복이나 표적수사 따위는 하지 않았다.

사진(인터넷 캡처)은 배우 문성근이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이란 단체를 만들어 공공연히 '백만 민란'을 외치며 전국적인 시위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어떻게 국민의 세금을 이런 일 하라고 지원할 수가 있겠는가?
문화계든 어디든 각종 단체들이나 유명인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그들이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를 선별하여 지원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정부로서는 당연한 직무라고 본다. 이를 특별히 '블랙리스트'란 딱지를 붙이고는 무슨 해서는 안될 짓이라도 한 듯이 호들갑 떠는 것은 황당한 일이다. 여기서 말하는 '블랙리스트란 비유하자면 출근하는 사람을 보고 '괴한'이라 하는 말이나 같다. 이는 '지극히 당연한 것을 이상한 것으로 생각하게 만드는 우리 언론의 특이한 재주'일 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