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이란?
결핵은 결핵균에 의한 공기매개 감염질환으로 감염성이 높아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고 신체 여러 부분을 침범하나 결핵에 감염되었다고 해서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며, 약 10%에서 결핵으로 발병 전염성 결핵환자는 객담의 결핵균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되어 타인에게 전파시킬 수 있는 경우
주요증상
호흡기 증상 | 전신증상 |
---|---|
기침,가래,객혈,호흡곤란 | 발열,발한,전신무력감,식욕부진,체중감소 |
감염경로
전염성 결핵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이 공기를 통해 떠다니다 다른 사람이 숨을 쉴 때 들이마셔 폐 속에 들어가 감염 이미 감염이 되어있는 사람도 폐 속에 결핵균이 들어오게 되면 폐의 어느 부분에 작은 병집이 생기게 되는데 결핵균을 들여 마신다고해서 다 환자가 되지는 않음
결핵의 진단과 진료
진단 | 치료 |
---|---|
- 흉부엑스선 촬영 - 객담검사 |
표준치료기간은 6개월 - 초기 집중치료기 : 2개월간 4제(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 복용 - 후기 유지치료기 : 4개월간 3제(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복용 |
결핵예방법
결핵은 전염성(활동성) 결핵 환자의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호흡기로 감염되는 질환이므로 전파 방지를 위해 평소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기침 예절’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 기침이나 재채기 후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씻어야 함 2주 이상의 기침, 발열, 체중감소, 수면 중 식은땀과 같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평소 가깝게 지내던 사람이 결핵 환자로 판명되었다면 증상여부와 상관없이 반드시 결핵검사를 받아야 함
기침예절을 잘 지키는 방법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손이 아닌 휴지, 손수건,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 후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씻어야 합니다
결핵관리사업
결핵예방사업 : 영유아BCG접종, 취약계층이동검진, 홍보 및 교육
입원명령결핵환자 입원비 지원 및 부양가족 생계비 지원
결핵환자 가족검진 및 집단 내 결핵환자 발생시 접촉자 조사
잠복결핵감염 진단·관리
결핵환자 신고 및 관리
신고대상 : 결핵환자를 진단, 치료한 경우
- 신고서식
결핵검진
대상 : 2주이상 기침·가래 등 호흡기증상이 있는 자, 결핵환자 접촉자 (가족 및 동거인)
검진항목 : 흉부엑스선검사, 객담검사
검진비용 : 무료
장소 : 춘천시보건소 결핵관리실
문의
춘천시보건소 결핵관리실 033-250-4605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