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렇습니다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국가시범지구)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 담당부서도시재생과
  • 작성자김희철
  • 연락처033-250-4402
  • 등록일2024-07-15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캠프페이지 부지)

 

 

Q

도시재생혁신지구 ?

A

도시의 쇠퇴지역에 산업(기업일자리)주거(정주)복지(공원) 등의

복합기능이 집적된 거점을 조성하여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는

국가(정부사업입니다.

 

 

Q

계획의 진행과정 ?

A

❶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그 간 논의되어 온 캠프페이지 부지 활용

   계획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2008년 최초 수립한 캠프페이지 개발계획과 유사한 형태

    공원 46% + 복합개발 54%(R&D, 상업문화주거)

 

▶ 이후논의되어 온 시민복합공원계획에 창작종합지원센터강원도청사 포함

 

▶ 특히2022년 강원도-춘천시 균형발전 공동담화문” 내용과는 정확히 일치

    근화ㆍ소양동 일대를 춘천의 신성장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캠프페이지를 첨단산업과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조성


 

❷ 공원 조성부지(52%) 외의 공간을 활용하여 쇠퇴한 구도심에 활력

   불어넣고 춘천의 발전적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상황 캠프페이지 부지 활용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은 재원의 확보이나

            재원 확보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20여년간 방치되어 옴

 

▶ 문제 지자체 재정 부족자금 조달 불확실성

 

▶ 대책 ① 체계적 계획 수립② 원활한 재원 조달③ 리스크 관리


※ 도시재생혁신지구

① 체계적 계획 시민 휴식권(공원)과 미래산업(K-컬쳐첨단산업)의 공존

② 재원 조달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안정적ㆍ경제적 대규모 재원 조달 가능

③ 리스크 관리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리스크 관리 가능





Q

사업내용 및 사업구조 ?

A

❶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캠프페이지 부지 절반 이상을 시민공원으로

   조성합니다나머지 부지를 활용하여 산업공간을 조성하되
이 중 일부가 주거공간(공동주택)이 되는 것입니다.

   특히, 우수기업 유치를 위해 주거공간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 사업내용

1. 공원(27㎡ / 52%) 시민 휴식권 제공대규모 공원

2. 산업ㆍ복합공간(15㎡ / 30%) 핵심산업(K-컬쳐첨단기업 유치 공간

  - 덱스터 등 13개 기업 이전 MOU 완료

3. 주거 공간(9㎡ / 18%) 기업 종사자 및 구직 청년층 주거공간 조성

  - 안정적인 정주공간 산업의 안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


 

❷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국가와 춘천시가 주도하는 공공주도형 사업

입니다춘천시는 재원도 확보해야 하는 동시에 사업의 리스크

줄여야 합니다. 공공주도형으로 추진하는 이유입니다.


▶ 공공주도형 사업이기에 저렴한 이자비용으로 안정적인 자금 조달이 가능

    (국가 시범지구 사업저렴한 이자비용 설계 가능)

 

▶ 공공주도형 사업이기에 개발이익도 대부분 춘천시가 확보 가능

    (개발이익은 주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하여 춘천시에 재투자)


 

❸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원도심 지역 활성화와 더불어 춘천의 미래

   바꿀 것입니다청년들을 위한 우수 일자리와 시민의 소득증대그리고

   춘천시 인구 증가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 효과 예측

경제 효과 3조 9천억(생산유발 29,146억 수입유발 8억 부가가치유발 10,323)

취업유발 효과 : 23,602명 α

지역경제권 활성화 혁신지구와 더불어 원도심 지역 상권 활력



 

 


Q

조성된 공원의 관리 ?

A

캠프페이지 부지 52%를 활용해 조성될 공원의 관리비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27의 대규모 공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년

어마어마한 관리비용이 필요합니다이미 조성된 공원의 관리비용은

춘천시 자체 예산으로 충당해야 합니다이는 춘천시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더구나 51㎡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할 경우,

조성 비용 조달도 난제이며조성 후 관리비용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공원 조성부지(52%) 외의 공간을 활용부가 가치를 창출하여

공원의 관리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입니다.


▶ 공원 관리비용 예상

- 27㎡ 공원 연간 57

- 51㎡ 공원 연간 110

 

ex) 부산시민공원 면적 47㎡ 관리비용 연간 100억 (언론보도 인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