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렇습니다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국가시범지구)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 담당부서도시재생과
- 작성자김희철
- 연락처033-250-4402
- 등록일2024-07-15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캠프페이지 부지) | ||||
|
| |||
Q | 도시재생혁신지구 ? | |||
A | 도시의 쇠퇴지역에 ①산업(기업, 일자리), ②주거(정주), ③복지(공원) 등의 복합기능이 집적된 거점을 조성하여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는 국가(정부) 사업입니다. | |||
|
| |||
Q | 계획의 진행과정 ? | |||
A | ❶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그 간 논의되어 온 캠프페이지 부지 활용 계획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❷ 공원 조성부지(52%) 외의 공간을 활용하여 ①쇠퇴한 구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②춘천의 발전적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Q | 사업내용 및 사업구조 ? | |||
A | ❶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캠프페이지 부지 절반 이상을 시민공원으로 조성합니다. 나머지 부지를 활용하여 산업공간을 조성하되 특히, 우수기업 유치를 위해 주거공간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❷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국가와 춘천시가 주도하는 공공주도형 사업 입니다. 춘천시는 재원도 확보해야 하는 동시에 사업의 리스크도 줄여야 합니다. 공공주도형으로 추진하는 이유입니다.
❸ 춘천 도시재생혁신지구는 원도심 지역 활성화와 더불어 춘천의 미래를 바꿀 것입니다. 청년들을 위한 우수 일자리와 시민의 소득증대, 그리고 춘천시 인구 증가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
Q | 조성된 공원의 관리 ? | |
A | 캠프페이지 부지 52%를 활용해 조성될 공원의 관리비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27만㎡의 대규모 공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년 어마어마한 관리비용이 필요합니다. 이미 조성된 공원의 관리비용은 춘천시 자체 예산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이는 춘천시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더구나 51만㎡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할 경우, 조성 비용 조달도 난제이며, 조성 후 관리비용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공원 조성부지(52%) 외의 공간을 활용, 부가 가치를 창출하여 공원의 관리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