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보호에 관한 조례 제정

  • 작성자임**
  • 등록일2019-02-26 12:01
  • 처리상태 답변완료
  • 공개공개
  • 담당부서 디자인과

수목보호에 관한 조례 제정

 

요즈음 춘천에서 살면서 느끼는 점은 행복도시라고 하지만 도시가 좋아 느끼는 행복지수는 갈수록 내려가고, 로맨틱 춘천이라지만 로맨틱한 느낌은 갈수록 못 느끼는 것입니다. 춘천, 시민이 주인이라고 한지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실감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약사천 복원도 하고 약사리고개 꼬부랑 고개길 없애고 좋아 보이기는 하지만 과거 사람들이 북적여 사람 사는 냄새가 났는데 지금은 아니고, 녹지라고하기에는 빈약하지만 약사천 주변에 나무도 심었고 한데 주변은 갈수록 메말라 가는 모습입니다. 전에는 집집마다 오해된 나무 몇 그루씩은 있었는데 낙엽 처리이나 햇살 가린다고 또 이웃의 요구로 거의 다 베어버리고 주민의 뜻대로 한다는 도시재생 사업은 난개발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미세 먼지로 마스크가 필수품이 되는 마당에 대로변에 어린이 놀이터와 운동기구를 설치하고......, , 아마도 제일 잘 보이는 곳에 전시용으로 설치하였다면 몰라도, 참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내 집 마당에서 자라는 50년이 넘은 나무들도 앞서 잘려져 나간 나무들의 처지에 놓여 있습니다. 춘천과 강원도가 식재를 권장하던 은행나무 · 개나리 · 담쟁이넝쿨 이제 사라져야 할 운명입니다. 건축 시에 의무적으로 심어야 하는 나무들은 관리를 않아 죽고 잘 자란 나무는 자리 차지한다고 베어버립니다. 근자에 환경 나쁘기로 악명 높았던 한 도시가 10 여년의 나무 심기 사업으로 쾌적한 도시로 변하고 선진국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아파트 등 고층 건물에도 담쟁이넝쿨을 외벽에 입히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춘천은 다른 도시에 비해 자연 환경이 좋아서 그 혜택에 대해 주민들이 무관심하고 별것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지금 춘천의 대기오염 수준은 다른 도시와 별 차이가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수목을 가꾸고 그것이 자신에게 얼마나 혜택을 주는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가면, 오래 가지 않아 대기오염에 악명이 높은 로맨틱 도시가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이제 수목 관리를 개개인에게 맡길 때가 아닙니다. 한때 마당의 나무도 베어내면 무단 벌목으로 처벌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렇게까지 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행정당국이 나서서 지원 · 지도 · 규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목보호와 지원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 가꾸기는 춘천의 경쟁력에 한몫을 할 수도 있는 정책입니다.


수목보호에 관한 조례 제정과 관련하여 답변드립니다.

  • 담당자경관디자인과
  • 전화번호033-250-3150
  • 답변날짜2019-03-07 11:33

1. 안녕하십니까? 경관디자인과장 정순자입니다.

2. 귀하께서 건의하신 수목보호에 관한 조례 제정과 관련하여 우리 부서의 검토사항을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질의요지

- 수목보호와 지원 등에 관한 조례 제정

 

춘천시 현행 관리

- 우리시에서는 도시열섬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하여 도시숲 조성·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도시숲 및 가로수

   등의 조성과 관련하여 춘천시 도시림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건의안에 대한 답변

- 귀하께서 건의하신 수목보호 내용과 관련하여 도시열섬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하여 수목보호는 꼭 필요한 사항이

   나개인 수목 등 사유재산에 대하여 규제하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에 우리시에서는 도시숲의 기능 및 효과

   등에 대한 홍보 및 시민 참여 캠페인 등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수목 보호에 다함께 동참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

   이며, 귀하께서 주신 고견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춘천시 도시림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반영이 될

   수 있도록 검토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3. 끝으로 우리시 발전을 위하여 귀하의 소중한 의견에 깊이 감사드리며 기타 궁금하 신 사항은 춘천시 경관디자인

   과(033-250-3150)로 연락주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