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조선시대 동내면과 남내면에 속함
-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남내일작면, 남내이작면, 부내면의 일부를 병합하여신남면으로 개칭
-
1946년 신남의「新」자와 동내의「東」자를 취하여 신동면으로 개칭
명칭유래
-
춘천군의 남쪽에 있었으므로 남부내면이라 함
위치
-
동쪽은 동면과 동산면, 남쪽은 동산면과 남산면, 서쪽은 남산면과 서면, 북쪽은 칠송동과 퇴계동과 접해 있음
지명유래
-
의암리(衣岩里) : 본래 춘천군 남내이작면의 지역으로 옷바우가 있으므로 옷바우, 칠바우 또는 의암이라 하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암리라 하고 1939년 신동면에 편입
-
정족리(鼎足里) : 지형이 솥발 같으므로 솟바리 또는 정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청리, 지품리, 신암리를 병합하여 신동면에 편입
-
증리(甑里) : 본래 춘천군 남내이작면의 지역으로서 실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한두루, 삼포, 샛고개를 병합하여 실내의 뜻을 따라 증리라 하여 신동면에 편입
-
팔미리(八味里) : 본래 춘천군 남내이작면의 지역으로서 발미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각길, 큰설미, 작은설미, 모오리를 병합하여 신동면에 편입
-
혈동리(穴洞里) : 설꼴 또는 혈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덕만리, 오봉리, 한골을 병합하여 혈동리라 하여 신동면에 편입
변천사
1973. 05. 28 : 신동면 삼천리, 송암리, 칠전리를 춘천시에 편입
1999. 05. 10 : 신동면 정족리 일부가 칠전동에 편입
담당부서 : 신동면 행정복지센터
전화번호 : 033-245-5361
최종수정일 : 2022-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