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시 행동요령 |
많은 수의 사람들이 물과 관련된 스포츠와 오락활동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물에 빠져 생명을 잃는 숫자가 발생할 수 있다. 하천, 강변, 우물, 저수지, 수체구덩이, 잠깐 고인 물에서도 익사사고가 발생하며 익사자의 50%가 수영 미숙으로 인하여 사망한다. 자기 자신을 구명할 수 있는 충분한 수영능력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다. 감시나 보호를 받지 않는 하천이나 강에서 익사사고의 약 90%가 발생한다. |
|
개인 안전법의 3가지 기본규칙 |
|
- 당황하지 말 것.
- 신중히 생각할 것.
- 힘의 소모를 절약할 것. |
|
경련(쥐) |
|
- 수중에서의 경련은 손가락, 발가락, 팔 혹은 다리에서 일어나며 피로와 과도한 . 운동 때문에 일어난다.
- 경련은 수영자가 당황하지 않으면 위험하지 않다.
- 영법을 변경하거나 문지르거나 주무르면 좋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근육을 펴주는 것이다. |
|
조류 |
|
- 수영자가 조류에 휩쓸렸을 때는 조류를 거슬러 뚫고 나오거나 조류와 싸워 이겨 내려고 시도해서는 안된다.
- 조류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서 수영한다. |
|
잡초, 수조 |
|
- 몸부림치거나 빨리 동작을 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 조심스럽게 천천히 동작을 하여 더 복잡하게 얽히는 것을 피함. |
|
위경련 |
|
- 식사 후 과격한 운동이 원인. 흔하지는 않지만 간혹 일어남.
- 식사 후 충분한 휴식과 소화 후에 물에 들어간다. |
|
수중에서 옷 벗기 |
|
- 제일 먼저 옷을 벗는다. (숨을 힘껏 들여 마신 다음 해파리 뜨기 자세)
- 바지와 상의를 차례로 벗는다.
- 물이 지나치게 차갑거나 안전지대가 가까울 경우는 옷을 벗지 않아도 된다. |
|
옷을 이용하여 뜨는법 |
|
- 올이 가늘고 성글게 짜여진 옷감으로 만들어진 의복, 셔츠, 바지 등은 물에 젖었을 때 공기를 넣을 수 있다.
- 셔츠의 목 쪽에 공기가 새지 않게 조인다.
- 숨을 크게 들이키고 둘째와 셋째 단추사이로 공기를 불어넣는다.
- 셔츠의 등 쪽에 물거품 모양이 형성되어 뜰 수 있다. |
|
물에 떠있기 |
|
- 이 기술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장시간 떠있게 하는 기술이다.
- 공기를 들여 마신후호흡을 멈추고 팔과 다리 힘을 풀고 자연스럽게 늘어뜨린다.
- 뒷머리가 수면에 뜨게 얼굴을 숙이고 뜬 채 잠시동안 쉰다.
- 입이 약간 수면위로 올라올 정도만 머리를 들어 동시에 입과 코로 호흡한다.
- 팔과 다리 동작에 너무 힘을 주거나 턱이 수면 위에 올라오게까지 해서는 안된다.
- 다시 휴식자세로 환원. |
|
수영을 하지 않고 구조하는 방법 |
|
- 손이 닿는 위치에 조난자가 있을 경우 : 옆사람을 붙잡는 것을 피하고 언제나 물가의 단단한 물체를 잡고 뻗은 |
팔로 조난자의 팔 목을 움켜잡고 천천히 잡아당긴다. |
- 손이 미치지 않는 곳에 조난자가 있을 때 : 셔츠, 수건, 옷 나뭇가지, 혹은 막대 기둥과 같은 물건들을 사용하여 |
팔을 뻗어 미치는 거리를 연장시켜서 조난자가 뻗혀진 물건의 한쪽 끝을 붙잡게 하여 천천히 안전지대로 끌어
들인다. |
- 한층 더 먼 곳에 조난자가 있을 때 : 밧줄, 링부이, 타이어튜브, 혹은 무엇이건 뜨는 물건을 던져준다. 던진 |
물건이 조난자에게 부딪히지 않게한다. |
- 물건을 던져줄 수 없을 만큼 먼 거리에 조난자가 있을 경우 : 보트, 배를 이용하여 조난자에게 가까이 가서 |
붙잡을 물건을 내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