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우리마을소식

춘천시 석사동 행정복지센터입니다.

호우에 대비합시다

석사동 석사동 2012-05-30 498

 1. 호우가 예상돼나요?


0주택의 하수구와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합시다.

0침수나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0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0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은 미리 준비해둡시다.

0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0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0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0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0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0운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여주세요.

0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0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0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0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

0노약자나 어린이는 집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0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맙시다.

0대피할 경우 수도와 가스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0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2. 호우가 지나갔나요?

0파손된 상하수도나 축대·도로가 있을 경우 시청이나 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0물에 잠긴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고 전기, 가스, 수도관시설은 손대지 말고 전문 업체에 의뢰합시다.

 

  

1. 도시지역 및 농촌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0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0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0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0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0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0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0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0물에 떠내려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0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0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

0아파트 및 고층건물 옥상이나 지.하실 및 하수도 맨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0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0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0노약자나 어린이는 집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0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0집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를 합시다.

0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0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

0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0다리는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0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0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0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시다.

0집주변이나 농경지의 용배수로를 미리 점검합시다.

0산간계곡의 야영객은 미리 대피합시다.

0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 및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0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0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3. 해안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0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0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0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0가로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0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0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0해안도로로 운전하지 맙시다.

0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0육지의 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0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연락합시다.

0출입문, 창문 등을 잠급시다.

0다리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0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0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0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0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0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4. 산악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재배시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합시다.

기상정보 및 강우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문·창문을 닫고 집 안에서 머무릅시다.

유리 창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젖은 신문지, 비닐 또는

테이프를 창문에 붙입시다.

해안지역에서는 바닷가로 가지 맙시다.

라디오나 TV의 기상정보를 주의 깊게 들읍시다.

날아 갈 수 있는 모든 물건들을 안으로 들여놓으세요.

 

지붕 위나 바깥에서 작업을 하지 맙시다.

나무 밑으로 피하지 맙시다.

바닷가 근처로 가지 맙시다.

강풍이 지나간 후 땅바닥에 떨어진 전깃줄에 접근하거나 만지지 맙시다.


외출을 삼가고 자동차를 타고 갈 때는 속도를 줄입시다.


 









물놀이 :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요령


 


 

◆ 물놀이사고 10대 안전

1. 여행을 떠나기 전 응급처치 요령을 충분히 익힙니다.

2. 야외 물놀이를 계획할 때에는 물이 깨끗하고, 자연 조건이 안전한 지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3. 지역의 기상 상태나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거친 파도, 강한 조류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4. 가능한 안전 요원이 있는 물놀이 장소를 선택하고 그 규칙을 따릅니다.

5. 술을 마셨거나 약물을 복용 후에는 물놀이를 삼가야 합니다.

6.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할 때는 수영을 할 수 있고 응급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지켜 봐야 합니다.

7. 혼자 수영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8. 물속에서 갑작스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수영하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합니다.

9. 깊은 물에 들어가거나 보트, 수상스키, 래프팅 등 수상레저 활동시에는 구명조끼를 착용합 니다.

10. 무리한 다이빙이나 깊은 물에서의 수영은 피해야 합니다.

 

◆ 물에 들어갈 때 지켜야 할 사항

1. 일반적으로 수영하기에 알맞은 수온은 25~26℃정도이다. 물에 들어 갈 때는 다음 사항을 꼭 지켜야 한다.

2. 준비운동을 한 다음 다리부터 서서히 들어가 몸을 순환시키고 수온에 적응시켜 수영하기 시 작한다.

3. 초보자는 수심이 얕다고 안심해서는 안된다.

※ 물놀이 미끄럼틀에서 내린 후 무릎정도의 얕은 물인데도 허우적대며 물을 먹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으므로 절대 안전에 유의한다

4. 배 혹은 떠 있는 큰 물체 밑을 헤엄쳐 나간다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않는다.

※ 숨을 들이 쉰 상태에서 부력으로 배 바닥에 눌려 빠져 나오기 어려울 때는 숨을 내뱉으 면 몸이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배 바닥에서 떨어져 나오기 쉽다

5. 통나무 같은 의지물이나 부유구, 튜브 등을 믿고 자신의 능력 이상 깊은 곳으로 나가지 않 는다.

※ 의지할 것을 놓치거나 부유구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6. 수영 중에 “살려 달라”고 장난하거나 허우적거리는 흉내를 내지 않는다.

※ 주위의 사람들이 장난으로 오인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7. 자신의 체력과 능력에 맞게 물놀이를 한다.

※ 물에서 평영 50m는 육상에서 250m를 전속력으로 달리는 것과 같은 피로를 느낀다

8. 껌을 씹거나 음식물을 입에 문채로 수영하지 않는다.

※ 기도를막아 질식의 위험이 있다

 

◆ 어린이의 물놀이 활동 시 유의사항

- 어른들이 얕은 물이라고 방심하게 되는 그곳이 가장 위험 할수 있다.

- 어린이는 거북이, 오리 등 각종 동물 모양을 하고 보행기 처럼 다리를 끼우는 방식의 튜 브사용은 뒤집힐 경우 아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머리가 물속에 잠 길수 있다.

- 보호자와 물 안에서 함께 하는 활동 안에서만 안전이 보장될 수 있으며, 어린이는 순간 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익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어린이와 관련된 수난사고는 어른들의 부주의 및 감독 소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인지능력 및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손을 뻗어 즉각 구조 가 가능한 위치에서 감독해야 한다.

-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만 6~9세 이하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통제권을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므로 사전 안전교육 및 주의를 주어 통제한다.

 

. 상황별 대처요령

◆ 파도가 있는 곳에서 수영할 때

- 체력의 소모가 적게 편안한 기분으로 수영한다. (긴장하면 그 자체로서 체력소모가 발생한다)

- 머리는 언제나 수면 상에 내밀고 있어야 한다.

- 물을 먹지 않으려고 기를 쓰고 참기보다 마시는 쪽이 오히려 편안한 경우도 있다.

- 큰 파도가 덮칠 때는 깊이 잠수할수록 안전하다.

- 지쳐가 휴식을 할 때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다르다.(눕거나, 선헤엄)

- 큰 파도에 휩싸였을 때는 버둥대지 말고 파도에 몸을 맡기고 숨을 중지해 있으면 자연히 떠 오른다

- 파도가 크게 넘실거리는 곳은 깊고 파도가 부서지는 곳이나 하얀 파도가 있는 곳은 일반적 으로 얕다. 또 색이 검은 곳은 깊고, 맑은 곳은 얕다.

- 간조와 만조는 대개 6시간마다 바뀌므로 간만 때의 조류변화 시간을 알아두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조류가 변할 때는 언제나 흐름이나 파도, 해저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 거센 파도가 밀려났을 때는 파도에 대항하지 말고 비스듬히 헤엄쳐 육지를 향한다.

◆ 수초에 감겼을 때

- 수초에 감겼을 때는 부드럽게 서서히 팔과 다리를 움직여 풀어야 하고 만약 물 흐름이 있으 면 흐름에 맡기고 잠깐만 조용히 기다리면 감긴 수초가 헐겁게 되므로 이때 털어 버리듯이 풀고 수상으로 나온다.

- 놀라서 발버둥 칠 경우 오히려 더 휘감겨서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침착하게 여유를 가지 고 호흡하며, 서서히 부드럽게 몸을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꾸준히 헤어 나오도록 한다.

 

◆ 물을 건널 때

◯ 하천이나 계곡 물을 건널 때는

- 물결이 완만히 장소를 선정하여, 가급적 바닥을 끌듯이 이동한다. 시선은 건너편 강변 둑을 바라보고 건너야한다.

- 이동 방향에 돌이 있으면 가급적 피해서 간다.

- 다른 물체를 이용 수심을 재면서 이동한다.(지팡이를 약간 상류 쪽에 짚는다)

-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되 물살이 셀 때는 물결을 약간 거슬러 이동한다.

◯ 무릎 이상의 급류를 건널 때는

- 건너편 하류 쪽으로 로프를 설치하고 한 사람씩 건넌다.

- 로프는 수면위로 설치한다. 로프가 없을 때 여러 사람이 손을 맞잡거나 어깨를 지탱하고 물 흐르는 방향과 나란히 서서 건넌다.

 

◆ 물에 빠졌을 때

- 흐르는 물에 빠졌을 때는 물의 흐름에 따라 표류하며 비스듬히 헤엄쳐 나온다.

- 옷과 구두를 신은 채 물에 빠졌을 때는 심호흡을 한 후 물속에서 새우등 뜨기 자세를 취한 다음 벗기 쉬운 것부터 차례로 벗고 헤엄쳐 나온다.

 

◆ 침수ㆍ고립지역에서의 행동

침수지역에서의 행동은

- 부유물 등을 이용하며, 특히 배수구나 하수구에 빠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 도로 중앙지점을 이용 가급적 침수 반대 방향이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고립지역에서의 행동은

- 자기 체온 유지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무리한 탈출 행동을 삼가한다.

- 가능한 모든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 신호를 한다(옷이나 화염을 이용)

- 가능하다면 라디오나 방송을 청취하여 상황에 대처한다.

 

◆ 보트를 탈 때

- 보트에 들어 갈 때는 배를 도크나 강변에 나란히 대놓고 안정시키고 선미 쪽에서 양손으로 뱃전을 잡 고 용골위의 바닥으로 발을 천천히 옮긴다.

- 배안에서 균형이 잡히면 중심을 낮춘 자세로 자리를 이동한다.

- 보트에서 나올 때는 보트에 들어 갈 때와 반대로 하고 내릴때 뒷발이 배를 강 쪽으로 밀지 않도록 유 의한다.

- 물속으로 떨어졌을 때는 즉시 수면으로 올라와 배를 붙잡아야 하고 잠시 휴식한 후 선미 쪽으로 돌아 와서 몸을 솟구쳐 상체부터 올려놓는다.

- 모든 승선자는 구명조끼를 착용해야 한다.

 

◆계곡에서 야영지를 선택 할 때

계곡에서 야영지를 선택할 때는 물이 흘러간 가장 높은 흔적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대피할 수 있는 고지대와 대피로가 확보된 곳을 선정하며 또한 낙석 위험 및 산사태 위험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 물놀이 사고 및 안전사고 발생시 즉시 119 (해상 122) 또는 1588-3650으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소방방재청 홈페이지 자료 참조)

담당부서 :석사동 행정복지센터

전화번호 : 033-245-5766

최종수정일 : 2022-11-07